Only do what only you can do!!
오직 너만 할 수 있는 일을 하라!!
Showing posts with label 회계.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회계. Show all posts


- 재무상태표(State of financial position)는 일정시점에 있어서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재무제표로 대차대조표라고도 합니다. 재무상태란 자산(Asset), 부채(Liabilities), 자본(Equity)의 상태를 말합니다.
 
- 기업회계기준상의 재무상태표는 자산 = 부채 + 자본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이를 재무상태표등식 또는 회계의 기본등식이라고 합니다. 이 등식의 좌측은 자원구조를 나타내며, 우측은 재무구조를 나타냅니다.
 
- 자산(Asset)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말한다. 기업회계기준은 자산을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하고 있다. 유동자산은 다시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비유동자산은 다시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등으로 구분한다.
 
- 부채(Liabilities)는 과거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경제적 효익을 갖는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의무이다. 채권자 지분(Creditor Equity)이라고도 한다. 기업회계기준은 부채를 유동부채, 비유동부채로 구분하고 있다.
 
- 자본(Capital)이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Residual Equity)이다. 총자산에 대한 소유주의 청구권으로서 소유주지분이라고도 합니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자본을 납입자본(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으로 구분합니다.
 
 
 
- “자산 = 부채 + 자본을 재무상태표등식이라고 하는데, 기본적 회계등식으로서 기업의 경제적 사상을 기록·요약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시한다.
- “자산 - 부채 = 자본을 자본 등식이라고 한다.
- “수익 - 비용 = 순손익(포괄)손익계산서등식이라고 한다.
- “ 자산 + 비용 = 부채 + 자본 + 수익을 시산표등식이라고 한다.
- 재무상태표등식은 자산을 지분으로 보고, 지분을 채권자지분과 소유자 지분으로 나누어서 표시하기도 한다.
자산 = 지분
= 채권자 지분 + 소유주 지분
= 부채 + 소유주 지분

 

손익계산서에는 회사의 일정기간 손익을 범주별로 구분해서 표시하는데,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계속사업이익(중단사업이 있을 때 중산사업이익 별도 표시), 법인세차감전이익, 당기순이익, 포괄손익, 주당순이익이 그것입니다.

매출총이익(Gross Profit)은 매출액(sales)이라는 수익(Revenue)에서 매출원가(Sales Cost)라는 비용(Expense)을 뺀 이익(Profit)을 말합니다. 생산된 제품 또는 매입한 상품의 판매액에서 판매된 제품 또는 상품의 원가총액을 뺀 것이므로 일종의 판매마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정상적인 매출활동, 즉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서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입니다. 매출총이익에서 영업활동에 지출하는 판매관리비를 뺀 나머지 이익을 말합니다.

법인세차감전이익은 영업이익에 영업외수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뺀 금액을 말합니다. 계속사업이익(Profit of Continue Operations)은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과 계속사업법인세비용을 뺀 계속사업이익으로 구분됩니다.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과 그와 관련된 부수적인 활동, 또는 주된 영업 이외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으로서 중단사업이익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이익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Profit for the period)은 손익계산서의 궁극적인 결과로서 한 회계기간의 최종적인 경영성과, 즉 기업의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차감한 이익을 말합니다. 당기 순이익은 계속사업손익에 중단사업손익을 가감해서 산출합니다. 중단사업이 있을 때는 계속사업이익에서 중단사업손익을 가감해 계산하고, 중단사업이 없을 때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애소 법인세비용을 차감해 계산합니다. 이 때문에 당기순이익은 세후이익’(Profit after taxation)이라고도 합니다.

포괄손익(Comprehensive Profit)이란 기업이 한 회계기간 동안 손익거래로 인해 발생한 모든 이익을 말합니다. 포괄이익은 재무제표상 손익계산서에 포함되는 이익과 재무상태표 자본항목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 포함되는 손익으로 구성됩니다.

주당순이익(EPS : Earning Per Share)은 당기순손익을 평균발행주식 수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주당손이익의 의미는 주식1주가 1년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으로서, 주식투자의 중심지표로 쓰입니다.

 

전표[Slip] 종류 : 대체전표(Transfer Slip) 현금거래자 없이 이루어지는 거래, 출금전표(Paying-out Slip , Account Payable) 현금이 나가는 거래, 입금전표(Paying-in Slip, Account Receivable) 현금이 들어오는 거래를 표시합니다

당좌예금[Current Deposits] : 은행과 당좌거래 계약을 체결한 일상의 상거래에서 취득한 현금 수표를 은행에 예입하고, 예금액 범위 내에서 거래은행은 지급인으로 하는 당좌수표 또는 어음을 발행할 있는 예금계정을 말합니다. 예금은 이자가 없는 지급거래 수단입니다. 당좌 대월 약정이 있는 경우 약정한도까지 예금액을 초과해서 지급하는 차입(마이너스대출) 가능합니다

공정가액[Fair Value] : 공정한 가격을 표현하는 회계용어입니다.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거래당사자들이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를 가지고 거래하는 가격을 말합니다. 거래시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장가격이 공정가액이 됩니다.

인정이자[Deemed Interest] : 회사가 특수관계자에게 업무와 관계없이 무상 또는 낮은 이율로 금전을 대여한 경우에, 국세청장이 정하는 이자율에 의해 계산한 이자상당액과의 차액을 이자수입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법인의 소득에 가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만큼 법인세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타계정대체[Transfer To Other Account] : 재고자산을 판매하지 않고 종업원 상여 또는 접대목적 등으로 거래처에 제공할 , 금액은 매출원가와 구분해서 타계정대체라고 합니다.

제조원가명세서[statement of Production Cost] : 당기 제품제조원가의 내역을 표시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명세서 입니다. 당기 제조비용을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로 구분해서 기재하고, 여기에 기초재공품재고액을 가산하고, 가말재공품재고액을 차감하면됩니다

 

유동성[Liquidity] : 비현금자산을 얼마나 빨리 현금화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성질을 말합니다. 유동성이 크다는 것은 현금화가 쉽다는 뜻입니다. 재고자산은 소비자가 사주어야 비로소 매출채권이나 현금을 받을 수 있는 반면, 매출채권은 그런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금융권에서 할인하면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재고자산 보다 매출채권의 유동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당좌비율 :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유동부채, 당좌비율은 당좌자산÷유동부채로 구하는데, 모두 회사의 부도 가능성을 평가하는 비율입니다. 유동비율이나 당좌비율이100% 아래로 떨어지면 부도 위험이 있다고 평가됩니다.



상계[Offset] : 상계는 차변 금액과 대변 금액 중에서 서로 관련된 금액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령 은행에서 1억원을 차입하면 차변에 현금(자산) 1억원, 대변에 차입금(부채) 1억원이 생깁니다. 이때 총액으로 표시하면 대차대조표에 자산 1억원, 부채 1억원으로 제대로 나타나지만, 만약 서로 관련된 현금과 차입금을 상계해버리면 대차대조표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월결손금[Deficit Carried-Over] : 이전 사업연도에서 처리되지 않은 채 이월된 결손금을 말합니다.


이익잉여금[Retained Earnings] : 영업활동에서 얻은 이익으로서 배당 등으로 처분되지 않고 회사에 유보된 금액을 말합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39쪽에서 설명)에서는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재무제표 요소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 즉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변동표(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등을 재무제표로 봅니다.

 

궁금했던 경제 용어

Posted In: . By lkh

총부채상환비율[Debt To Income] :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하는 계산비율을 말한다.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실시한다. 대상은 총 대출규모 5,000만원 이상의 담보대출이다



버블7 [ bubble seven ] : 집값 상승폭이 높아 거품이 끼어 있다는 뜻에서 버블(Bubble, 거품)이라는 이름이 붙었단다. 어디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강남 서초 송파 목동 분당 용인 평촌 등 이란다.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 : 197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아서 루이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개발도상국 농촌의 값싼 인력으로 급속한 산업발전을 이루지만, 임금인상과 저임금 근로자의 고갈로 반드시 경제성장이 둔화하는 변곡점을 맞는다는 이론이다. 현재 중국이 루이스 전환점에 도달했다는 견해가 많아지고 있다

 


「재무회계개념체계」에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구성요소 를 크게 10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6. 수익

수익(revenues)이란 기업실체의 주요 경영활동으로서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의 대가로 발생하는 자산의 유입 또는 부채의 감소이다.

7. 비용

비용(expenses)이란 기업실체의 주요 경영활동으로서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에 따라 발생하는 자산의 유출이나 사용 또는 부채의 증가이다.

8. 차익

차익(gains)이란 기업실체의 주요 경영활동 이외의 부수적인 거래나 사건으로서 소유주의 투자가 아닌 거래 또는 사건의 결과로 발생하는 순자산의 증가이다.

9. 차손

차손(losses)이란 기업실체의 주요 경영활동 이외의 부수적인 거래나 사건으로서 소유주에 대한 분배가 아닌 거래 또는 사건의 결과로 발생하는 순자산의 감소이다.

10. 포괄이익

포괄이익(comprehensive income)은 일정 기간 동안 소유주와의 거래이외의 모든 거래 및 사건에서 인식된 자본의 변동을 말한다. , 포괄이익에는 소유주의 투자 및 소유주에 대한 분배 이외의 모든 원천에서 인식된 자본의 변동이 포함된다.

 


「재무회계개념체계」에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구성요소를 크게 10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1. 자산

자산(assets)은 과거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에 의해 지배 되 고 미래에 경제적 효익(future economic benefits)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말한다.

2. 부채

부채(liabilities)는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현재 기업실체가 부담하고 있고 미래에 자원의 유출 또는 사용이 예상되는 의무(obligation)이다.

3. 자본

자본(지분, equity)은 기업실체의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차감한 잔여액 또는 순자산으로서 자산에 대한 소유주의 잔여청구권이다. 주식회사의 경우 소유주는 주주이므로 주주지분은 자본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4. 소유주의 투자

소유주의 투자(investments by owners)는 기업실체에 대한 의 권리를 취득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기업실체에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자원을 이전 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자본이 증가하게 된다.

5. 소유주에 대한 분배

소유주에 대한 분배(distributions to owners)는 기업실체가 소유주에게 자 산을 이전하거나 용역을 제공하거나 또는 부채를 부담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현금배당, 자기주식의 취득, 감자 등이 이에 속한다. 소유주에 대한 분배가 있 게 되면 기업실체의 순자산은 감소한다.